티스토리 뷰
연동시킬 폴더를 생성 하며 후에 폴더 오른쪽 버튼 클릭
Git Bash Here 혹은 cmd창으로 해당 경로로 들어간다.
1. $ git init
init 파일 생성
2. $ git add .
폴더 내 파일 등록 (마침표 까지)
3. $ git commit -m "메세지"
등록된 파일 커밋 작업
(메세지 부분에 영문으로 이나 숫자로 작성하며 꼭 작성해야 되는 것 같음)
4. $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계정명/repository명.git
연동시켜줄 저장소 추가
origin : 폴더 명 세팅 , github 저장소 경로 : https://github.com/계정명/repository명.git
5. $ git push origin master
로컬 저장소 내 커밋된 파일들을 github 저장소로 넣어줌
직접 해보면서 이해한 거라 의미가 다르거나 틀리거나 할 수 있음! 끗
그리고 커맨드 창 보단 gti bash here로 하는것이 나은듯?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계정 세팅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본인 이메일 주소"
$ git config --global user.name 사용자이름
파일 넣을때
$ git add . > $ git commit -m "메세지" > $ git push origin master
파일 가져올때
$ git init > $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계정명/repository명.git >
$ git pull origin master
상태 볼 때
$ git status
로그 볼 때
$ git log
'GitHub & Gitla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SSH로 다중 계정 사용하기 (0) | 2022.07.28 |
---|---|
Git 실행취소, 되돌리기, 커밋 메세지 변경 방법 등등 (0) | 2022.06.21 |
eclipse, STS git import 시 No projects found 해결방법! (0) | 2022.03.24 |
GITHUB 세팅 (repository 저장소 추가) (0) | 2017.02.15 |
GIT 설치하기 (0) | 2017.02.15 |
- Total
- Today
- Yesterday
- 인터바이크
- 국제반점
- 오라클 DB 링크
- 스쿠터 전국 일주
- 담양 여행
- 남자 혼자 여행
- 돌장갑
- 윈드스크린
- 영광 여행
- 송내역 룸카페
- 스쿠터 여행
- 은파호수공원
- 송내 카페
- vscode
- 제주도 스쿠터 여행
- 남자 혼자 국내 여행
- Docker
- 보성 여행
- 초원사진관
- 전국 일주 여행
- 베스파LX
- 군산 여행
- 군산 가볼만한곳
- kendo grid
- 나래바이크
- 리니지m
- 고흥 여행
- 군산 게스트하우스
- 송내역 카페
- 송내 룸카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